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강남개발역사인 게시물 표시

“강남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강남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서울 강남개발의 모든 것 아래 글에서는 서울 강남지역(江南地域)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계기와 정부 차원의 계획, 이를 실행하기 위해 적용된 주요 법령·시행 절차, 그리고 그 과정에서 벌어진 에피소드 3가지를 간략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강남개발의 시작: 인구 분산과 도시 확장의 필요성 서울의 폭발적 인구 증가 1960년대 들어 서울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종로·중구·용산·마포 등 도심(강북 지역)이 이미 포화 상태를 이룸. 주택 부족, 교통 혼잡, 환경 오염 등 문제가 심각해지자, 서울시는 도시 확장을 위한 신개발지 필요성을 절감함. 강남 지역의 부상 한강 이남 지역은 당시만 해도 대부분 논밭과 하천으로 이루어진 ‘외곽 지역’이었으나, 토지 확보가 비교적 수월하고 지대가 높아 홍수 피해가 적다고 판단됨. 특히 1967년 영동(永東)이라 불리던 지역 (지금의 강남·서초·송파 일대)을 대상으로 장기 개발계획을 수립하기 시작. 정부 주도 도시계획 박정희 정부 시절, 수도권 정비와 서울의 도시 구조 재편을 위해 제1차 도시기본계획 (1966~1971년 수립 과정)과 함께 강남 지역 을 집중 개발하는 방안을 구상. 1968년 영동개발계획을 확정하여, 토지구획정리사업(토지 재조정)과 대규모 택지 조성에 나섬. 2. 강남개발에 적용된 주요 법령 및 시행절차 도시계획법(1962 제정, 이후 개정) 도시 관리·개발의 전반적 틀을 제시하는 법령. ‘도시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토지 이용에 대한 규제가 가능해져, 강남 일대 를 도시계획구역에 편입하며 본격적 개발을 추진함.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시가지 확장·정비를 위해 ‘구획정리사업...

박정희 정권 부동산 정책의 ‘숨은 그림자’

 박정희 정권 부동산 정책의 ‘숨은 그림자’  박정희 정권의 부동산 정책 (1961~1979)  1. 산업화 속 부동산 정책의 태동 박정희 정부 시기(1961~1979)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동시에 폭발하던 시대였습니다. 연평균 8~10% 에 달하는 고도성장을 이뤘고, 수많은 농촌 인구가 도시로 몰리면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는 인구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이에 따른 택지 확보와 도시 기반 확충 은 국가적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정부는 민간보다는 국가 주도로 빠르게 토지 개발·공업단지 조성·주택 공급 을 추진했고, 이는 이후 강남 개발·여의도 매립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로 이어졌습니다.  2. 주요 정책과 도시 확장 전략 ▪️ 도시계획법 제정(1962) 박정희 정권은 도시 성장 관리를 위해 도시계획법을 제정, 서울·부산 등 주요 도시에 도시계획구역 을 설정하고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지정했습니다. 도시 성장은 중앙정부의 통제 아래 일사분란하게 이뤄졌습니다. ▪️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본격화 일제강점기 법령을 계승한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이 강력히 시행되며, 서울 외곽의 농지와 산지가 주거지로 탈바꿈했습니다. 강남 개발, 여의도 매립 등이 대표적이며, 환지 방식 을 통해 기존 지주에게 정리된 택지를 재배분했지만, 개발 정보를 선점한 일부 세력의 투기도 심각했습니다.  3. 국가산업단지 조성과 지역 개발 울산, 포항, 창원, 구미 등지에 국가 주도로 산업단지를 설립하며 중화학공업 중심지 를 구축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변 토지의 가격은 폭등했고, 공익 명분 아래 강제수용 도 빈번히 일어났습니다. 이때 발생한 주민 피해와 낮은 보상금 문제는 아직도 회자됩니다.  4. 부동산 투기와 미흡한 억제 대책 도시 팽창과 함께 땅값, 집값은 급등했습니다. 정부는 투기지구 지정, 양도세 강화, 거래 규제 등의 제한적 조치를 도입했지만, 토지공개념 도입 이나 부동산 실명제 같은 근본 대책은 제도화되지 못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