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고유번호증인 게시물 표시

종중 규약, 왜 만들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종중 규약, 왜 만들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종중 규약이란 무엇인가? 종중은 자연적으로 성립하는 혈연 단체입니다. 공동선조의 분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주관하며, 구성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것 이 종중의 본질이죠. 하지만 종중도 ‘사람의 단체’인 만큼,  조직을 갖추고 활동하기 위해서는 자치 규범인 ‘종중 규약’이 반드시 필요 합니다.  종중 규약은 종중의  운영원칙 ,  구성원 자격 ,  의사결정 방식 ,  재산 관리 및 처분 조건  등을 규정한  자치 법규 입니다.  종중 규약의 법적 의미 우리 대법원은 종중이 관습상 단체이긴 하지만, 규약 제정과 대표자 선출 , 그리고 지속적 활동이 있으면 '비법인 사단'으로서 법적 실체 를 인정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이 말은 곧, 종중이 자체 명의로 부동산 등기 를 할 수 있고 소송 당사자 로 인정받아 법적 분쟁에서 자신을 방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종중 규약 구성의 주요 항목 1. 명칭 및 목적 예: ○○김씨 ○○공파 종중회라 칭한다. 목적은 제사 봉행, 재산 보호, 친목 도모 2. 사무소 소재지 종중의 실질적 활동 공간 명시 3. 종원(회원) 자격 원칙: 공동선조의 후손으로 만 19세 이상 성년 남녀 2005년 대법원 판례 이후 여성 종원도 동등한 권리 인정 4. 회원의 권리와 의무 의결권, 선거권, 피선거권 보장 행사 불참 시 서면 또는 구두 의사표시 가능 (단, 악용 소지 주의) 5. 임원 구성 및 선출 회장, 부회장, 감사, 총무 등 총회에서 선출되며 회장은 종중 대표로서 재산 관리 책임 보유 6. 의결기구 운영 정기총회 : 시제 이후 연 1회 개최 임시총회 : 필요시 이사회(임원회) 의결로 회장이 소집 의사 및 의결 정족수 명확히 규정 규약 제정·개정 및 재산 처분 시 총회 의결 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