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liberation in 1945, South Korea repurposed Japanese-owned lands into the foundation for land reform and postwar redistribution.

1945년 광복 직후와 귀속재산의 등장
적산(敵産)과 귀속재산의 개념
1945년 광복 직후, 일본인과 일본 법인이 남기고 간 부동산, 토지, 공장 등은 ‘적산(敵産)’이라 불렸고, 미군정은 이를 ‘귀속재산’으로 관리했습니다.
미군정의 초기 조치
미군정은 1945년 9월부터 적산을 군정청 재산으로 접수하고 농지도 포함하여 관리했으나 본격적인 분배는 유보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무단 점유나 자발적 분배 시도가 있었으나, 이는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후의 농지개혁 필요성
해방 후 농촌 상황과 요구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인과 조선인 대지주가 대다수 농지를 소유하고 있었기에 대부분의 농민은 소작농이었습니다. 광복 이후 농민들은 “땅은 농민에게”라는 구호로 토지 개혁을 요구했습니다.
좌우 이념 대립과 개혁 압력
북한은 1946년 무상몰수·무상분배 방식의 급진적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반면, 남한은 지주층의 반발과 미군정의 유보적 입장 등으로 개혁이 지연되었으나, 농민 압력과 북의 개혁으로 인해 변화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농지개혁법 제정(1949)과 시행(1950)
법의 핵심 내용
- 지주는 약 3정보 이내만 소유 가능
- 초과 농지는 국가가 유상 매수 후 소작농에게 유상 분배
- 분배는 5년 분할 상환 방식
귀속재산 농지의 활용
미군정이 접수한 일본인 소유 대규모 농지는 대한민국 정부로 이관되어 농지개혁 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며, 경작자나 실수요 농민에게 분배되었습니다.
개혁의 성과와 한계
- 소작제가 해체되며 자영농 중심 구조로 전환
- 농촌 사회의 계층 이동이 촉진됨
- 그러나 보상금 실효성 부족, 편법적 토지 명의 이전 등 부작용 존재
한국전쟁과 이후 귀속재산 정리
전쟁 중 개혁의 지속
1950년 전쟁 발발로 개혁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안전 지역에서는 분배가 계속 진행되었습니다. 1953년 종전 무렵에는 대부분 농지가 분배 완료된 상태였습니다.
기타 귀속재산의 처리
공장 및 주택은 민간에 매각되거나 국유화되었고, 농지는 농지개혁을 통해 사회 구조 변화에 핵심적 역할을 했습니다.
맺음말: 해방과 개혁의 교차점
적산은 단순한 일본인 재산이 아닌, 한국 농지개혁의 중요한 원천이었습니다. 1949년 농지개혁법 시행과 함께, 적산 농지는 실경작 농민에게 돌아갔고 대지주 중심의 구조를 해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비록 완전한 개혁은 아니었지만, 이는 대한민국 사회 구조를 재편하고 산업화 기반을 마련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